(CS/컴퓨터공학) OSI 7계층 각 계층이 하는 일과 예시
✨ 개요
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역할별로 나눈 개념적 모델입니다.
아래 표 한 장으로 역할, 대표 프로토콜·장비, 데이터 단위(PDU)를 빠르게 정리합니다.
1. 한 장 요약 표
| 계층 | 역할(무슨 일?) | 대표 기능 | 대표 프로토콜/기술 | 대표 장비/소프트웨어 | 데이터 단위(PDU) |
|---|---|---|---|---|---|
| 7. 응용(Application) | 사용자·앱과 직접 소통 | HTTP 요청/응답, 메일 송수신, 파일 전송 | HTTP/HTTPS, SMTP, IMAP/POP3, FTP, DNS, MQTT, gRPC, WebSocket | 브라우저, 메일 서버, API 서버 | Data |
| 6. 표현(Presentation) | 표현 형식 변환/암복호화 | 인코딩/디코딩, 압축, TLS 암복호화 | TLS/SSL, MIME, JPEG/MP3/JSON(형식) | OpenSSL, 코덱/직렬화 라이브러리 | Data |
| 5. 세션(Session) | 세션 수립/유지/종료 | 대화 제어, 체크포인트, 재동기화 | (현실에선 4/7계층에 흡수) TLS 세션, RPC 세션 | 인증/세션 미들웨어, RPC 프레임워크 | Data |
| 4. 전송(Transport) | 끝점 간 신뢰/흐름/혼잡 제어 | 연결지향, 재전송, 순서 보장, 포트 | TCP, UDP, QUIC(전송역할 포함) | OS 커널(소켓), 로드밸런서(L4) | Segment(TCP), Datagram(UDP) |
| 3. 네트워크(Network) | 경로 선택·IP 라우팅 | 논리 주소(IP), 라우팅, 단편화 | IP(v4/v6), ICMP, OSPF/BGP, IPSec | 라우터, L3 스위치, 방화벽 | Packet |
| 2. 데이터링크(Data Link) | 로컬 링크 전송·프레이밍 | MAC 주소, 오류검출(FCS), 스위칭 | Ethernet, ARP, 802.1Q(VLAN), PPP | 스위치, NIC, 무선 AP(L2 기능) | Frame |
| 1. 물리(Physical) | 비트 신호 전달 | 인코딩, 전압/광 신호, 속도(대역폭) | UTP/광 케이블, 802.11 PHY, 전송 규격 | 케이블, 허브/리피터, 트랜시버 | Bit |
메모: 실제 인터넷은 TCP/IP 4계층(응용·전송·인터넷·링크) 모델을 주로 사용하지만, 학습·분석은 OSI가 더 세분화되어 편합니다.
2 계층별 핵심 이해 포인트
7️⃣ 응용계층
- 무엇을 보낼지 정의(REST API, 메일, 파일).
- 예: 브라우저가
GET /index.html을 전송 → 서버가 HTML 반환.
6️⃣ 표현계층
- 어떻게 표현할지(문자셋·압축·암호화).
- 예: HTTPS의 TLS 암복호화, JSON/ProtoBuf 직렬화.
5️⃣ 세션계층
- 대화(세션)의 생명주기 관리. 실제 구현에선 4/7계층과 겹침.
- 예: TLS 세션 재개, 애플리케이션 세션 토큰 관리.
4️⃣ 전송계층
- 끝점-끝점 신뢰(TCP) 또는 경량 전송(UDP).
- 예: TCP의 3-way handshake, 혼잡제어, 포트(HTTPS: 443).
3️⃣ 네트워크계층
- IP 라우팅으로 최적 경로 선택.
- 예: 라우터가 목적지 IP를 보고 다음 홉으로 패킷 전달.
2️⃣ 데이터링크계층
- 같은 네트워크 세그먼트 내 전달, MAC 주소 기반 스위칭.
- 예: ARP로 IP→MAC 해석, VLAN 태깅(802.1Q).
1️⃣ 물리계층
- 비트 신호(전기/광/무선)로 실제 전송.
- 예: CAT.6 케이블, 광 모듈, Wi-Fi 물리 계층.
3 OSI ↔ TCP/IP 매핑 빠르게
| OSI | TCP/IP |
|---|---|
| 7 응용 + 6 표현 + 5 세션 | 응용(Application) |
| 4 전송 | 전송(Transport) |
| 3 네트워크 | 인터넷(Internet) |
| 2 데이터링크 + 1 물리 | 링크(Link/Network Access) |
4. 트러블슈팅 관점(현업 감각)
- L1–L2: 링크 불량/속도 미스매치/듀플렉스 문제, VLAN 설정 오류
- L3: 라우팅 테이블/게이트웨이, 서브넷 마스크 불일치, ICMP 차단
- L4: 포트 차단/방화벽, SYN backlog, MTU/MSS 문제(TCP 세그먼트 재전송)
- L7: CORS/쿠키/헤더/프로토콜 버전, 인증·압축 문제
빠른 진단 레시피 1) 케이블/링크 업 확인(L1/L2) → 2) 게이트웨이/라우팅(L3) → 3) 포트/방화벽(L4) → 4) 애플리케이션 로그(L7)
5. 캡슐화/역캡슐화 한눈도식
송신 측
- App Data
- ↓ (L7~L5 처리: 포맷/암복호화/세션)
- TCP/UDP 헤더 붙임 → [Segment]
- ↓ (L3) IP 헤더 → [Packet]
- ↓ (L2) Ethernet 헤더/트레일러 → [Frame]
- ↓ (L1) 신호 전송
수신 측: 반대로 헤더 제거하며 상위 계층으로 전달
6. 예시 시나리오: “브라우저에서 https://example.com 열기”
- L7: 브라우저가 HTTP 요청 생성, DNS로 IP 조회
- L6: TLS 핸드셰이크로 암호화 세션 수립
- L4: TCP 연결(3-way) 후 요청 세그먼트 전송
- L3: 라우팅을 거쳐 목적지 IP로 패킷 전달
- L2: 스위치가 MAC 기반 프레임 전달
- L1: 케이블/무선으로 비트 전송
7. 키워드 요약
- 주소: MAC(L2) ↔ IP(L3) ↔ Port(L4)
- 단위: Bit(L1) → Frame(L2) → Packet(L3) → Segment/Datagram(L4) → Data(L5~7)
- 보안: TLS(L6), FW(보통 L3/L4/L7 정책), IPSec(L3)
8. 결론
- OSI는 학습 프레임: 실제 구현은 TCP/IP 4계층에 더 가깝지만, 문제 원인 파악·설계 설명에 OSI가 유용합니다.
- 장비/로그를 볼 때 “어느 계층에서 문제인가?”를 먼저 가르면, 원인 축소와 해결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