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CS/컴퓨터공학) 스케일업 vs 스케일아웃 - 언제 무엇을 선택할까?

✨ 개요

스케일업 vs 스케일아웃 - 언제 무엇을 선택할까? (성능·비용·신뢰성·데이터까지)

트래픽이 늘면 “스펙을 키울까(Scale-Up), 서버를 늘릴까(Scale-Out)?”
두 전략은 장단이 확실합니다. 이 글은 성능·비용·신뢰성·데이터·운영 관점에서 실무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


1. 요약

항목 스케일업 (Scale-Up, 수직) 스케일아웃 (Scale-Out, 수평)
개념 한 대의 머신 성능을 키움 (CPU/RAM/디스크 업그레이드) 여러 대로 분산 (노드 추가/제거)
성능 단일 쓰레드/강한 일관성/큰 메모리 요구에 유리 병렬 처리/탄력 확장/가용성에 유리
리스크 단일 장애점(SPOF) 위험, 상한 도달 시 한계 큼 분산 복잡도↑, 네트워크/일관성/조정 비용
확장 곡선 초반 효율↑, 상한에 가까울수록 비용 급증 선형에 가까운 확장 가능(설계가 맞다면)
비용 구조 고급 하드웨어/라이선스 비용↑ (코어/소켓 과금) 저가 노드 다수 + 오토스케일/스팟 등 절감
배포/무중단 간단(단일 노드 교체/증설) 롤링·블루/그린로 매끄럽게, 복잡도는↑
데이터 대용량 RAM 캐시/단일 인스턴스 RDB에 적합 샤딩/리드레플리카/파티셔닝·CQRS 등 필요
사용 예 대형 RDB, 인메모리 분석, 싱글테넌트 고사양 웹/API, 스트리밍, 캐시·검색·큐, 멀티테넌트

2 언제 스케일업이 맞나?

주의: 상한에 가까워질수록 단가 폭증(플래그십 CPU·고클럭·대용량 DIMM). 단일 장애점(SPOF) 해결을 위해 액티브-스탠바이 등 이중화는 필수.


3 언제 스케일아웃이 맞나?

전제: 상태(state) 분리/분산 저장, 무상태(Stateless) 서버, 아이덴포턴시·재시도·백오프 등 분산 패턴을 갖춰야 함.


4. 성능·지연 관점 핵심


5. 데이터베이스 전략

목표 스케일업 중심 스케일아웃 중심
읽기 확장 리드 레플리카(RDB), 커넥션 풀 최적화 레플리카+읽기 라우팅, 캐시(레디스/쿼리캐시)
쓰기 확장 파티션/파티셔닝, 저장 프로시저 최적화 샤딩키 설계(균등 분포), 멀티파티션 트랜잭션 최소화
분석 같은 노드에 메모리/스토리지 증설 OLAP 분리(ELT→DW/레이크하우스)
일관성 강한 ACID, 단일 노드 트랜잭션 최종 일관성·CQRS·SAGA(분산 보상)

초반엔 스케일업 + 리드레플리카로 빠르게 버티고, 트래픽 패턴이 고착되면 샤딩·CQRS로 전환이 현실적


6. 인프라·클라우드 비용 관점


7. 신뢰성·배포


8. 설계 패턴 & 체크리스트

8.1 스케일업 체크리스트

8.2 스케일아웃 체크리스트


9. 하이브리드 전략(현실 해법)


10. 안티패턴


11. 선택 가이드 (결론)


12. 메모(현업 감각)



Related Posts